증감연산자
증감연산자는 말 그대로 변수 값을 1 증가시키거나 1 감소시키는 연산자이다.
- ++ : 증가연산자로 변수 값을 1 증가시킨다.
- -- : 감소 연산자로 변수 값을 1 감소시킨다.
증감 연산자는 ++/--(연산자)의 위치에 따라 전위 연산자와 후위 연산자로 나뉜다.
전위 연산자
++변수, --변수
변수명 앞에 연산자가 붙어있으며, 증감연산이 끝난 변수를 이용해 남은 연산이 진행된다.
7번째 라인을 살펴보면 ++a를 출력하고 있다. ++연산자가 변수 앞에 붙어 있으므로 a의 값을 1 증가시켜 준 다음에 printf가 실행된다. 따라서 0 + 1의 값이 출력되는 것이다. 10번째 라인도 변수 앞에 --연산자가 붙어 있으므로 b의 값을 1 감소시켜 준 다음에 출력해 준다. 따라서 1 - 1인 0이 출력될 것이다.
후위 연산자
변수++, 변수--
변수명 뒤에 연산자가 붙어있으며, 전체 연산인 끝난 후 변수 값이 증감된다.
후위 연산자는 전위 연산자와는 다르게 출력 후 변수 값을 증가시켜 준다. 그래서 7번째 라인에서 a++을 출력하게 되면, 증가되기 전 값인 0이 출력되고 그 후에 a의 값은 1이 된다. 따라서 7라인은 0, 8라인은 1이 출력된다. 10번째 라인도 마찬가지로 b의 값이 먼저 출력된 후 b의 값이 감소하기 때문에 10라인은 1, 11라인은 0이 출력된다.
해삼이의 요약!
'전'위 연산자/ '후'위 연산자는 말 그대로 연산자의 전, 후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다.
++/--변수인 경우 +1/-1 변수 한 다음 계산해 주고, 변수++/-- 인 경우에는 계산이 다 끝난 후에 변수=변수+1/-1 된다고 생각해 준다.
위의 예제를 참고하면 증감연산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.
'컴퓨터일반 >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 일반] CISC, RISC 특징 정리 (2) | 2022.12.14 |
---|---|
[알고리즘] 너비우선탐색(BFS) 쉽게 배우기 (0) | 2022.12.08 |
[알고리즘] 깊이우선탐색(DFS) 쉽게 배우기 (0) | 2022.12.07 |
[컴퓨터 일반] DRAM, SRAM (0) | 2022.12.02 |
[컴퓨터 일반] 지도, 비지도, 강화 학습 (0) | 2022.12.02 |
댓글